태그: 디자인 패턴 (2)
TS & NestJS 디자인패턴 총정리
시작하며: nest.js & typescript의 특성 nest.js는 spring처럼 ts에서도 프레임워크에게 템플릿을 의존한 채, 견고한 백엔드 설계를 도와줍니다. 다만, java & kotlin과 ts의 언어적 차이 및 Angular에서 파생한 nest.js의 설계 철학 자체가 spring과는 꽤나 차이가 있어 spring 진영에서 사용하는 설계 패턴을 그대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구체적인 예시는 본문에서 다룰 예정이지만, 가장 큰 차이는 TS의 특성상 런타임에서 소실되는 JS에 존재하지 않는 기능들, Modul


NestJS
디자인 패턴
NestJS
디자인 패턴
OOP
NestJS DI의 모든 것, 내부 코드 분석 및 디자인 패턴에서의 활용
들어가며 의존성 주입(DI, Dependency Injection)은 모던 백엔드 프레임워크의 핵심 설계 철학이자 아키텍처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NestJS 프레임워크의 DI를 프레임워크 코드를 파헤쳐가며 심도 있게 분석하며, 프레임워크 기능들을 우아하게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여러 인사이트를 도출합니다. 글에선 NestJS 패키지 내부의 코드가 부분부분 발췌될 예정입니다. 글 읽으시면서 등장하는 코드는 대충 읽지 마시고 꼭 천천히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아무래도 프레임워크 코드다 보니 설계가 되게 깔끔


NestJS
DI
NestJS
DI
디자인 패턴